https://www.youtube.com/watch?v=erCeAr6EtKM
1. 447개 데이터를 분석, 결론은 교수들도 논문 사기친다.
447개중에서 64-85%정도는 통계적으로 무의미한 논문이 있었다.
사기를 치는 이유는 논문을 실기 위함이고, 남논문 데이터를
분석하는 연구자들은 많이 없기 때문도있다.
보통 데이터마이닝 사기를 많이친다.
보편적으로 논문의 결론과 유사한 데이터(년도)를 캐네서 근거자료로 쓰는것이다.
때문에 직접 백테스트를 할줄아는 능력이 중요한것 같다.
2. 통계적으로 가장 유의미한 논문은 무엇이었나?
결론적으로 많은 전략들 중에 모멘텀류 전략이 가장 우수했다.
애널리스트 예측조정,변경은 애널리스트들이
기업전망을 긍정적으로 수정했을때
주식을 사면, 모멘텀에 의해 큰 수익을 낼수 있는 전략이다.
상대모멘텀은 최근 가장 많이 오른주식을 매수-보유하고
가장 많이 떨어진 주식을 공매도하는 전략이다. 두가지 다 유의미하다고 결론지었다.
3. 그밖에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전략들은?
PER,PCR전략 가치지표는 연간보다 분기별이 가장잘먹힌다.
ROE전략의 경우도 역시 유의미한 전략이였다.
자산을 증식해 주식수를 높이거나, 투자를 하는 기업은 반드시 피하자.
R&D를 하는 기업은 수익으로 연결되기 때문에 좋다.
월별 시즈널리티전략 역시 유의미하다.
가령 아이스크림 사업의경우 특정년만 잘 나갈수 있기 때문이다.
'투자' 카테고리의 다른 글
영구포트폴리오 업그레이드 방안 (0) | 2020.10.11 |
---|---|
경제는 위기인데 주식은 왜 오르는가? (0) | 2020.10.11 |
투자전략#2 LAA (0) | 2020.10.09 |
계속 오르는 자산은 왜 오르는가? (0) | 2020.10.09 |
투자전략#1 상대모멘텀 (0) | 2020.10.09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