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생각

신은 죽었다 : 니체

'망치를 든 철학자' '신은 죽었다' 라는 말로 유명한 니체는 일찍이 전통적 도덕관을 비판하며 새로운 도덕관을 제시한적이 있다. 바로 노예의 도덕과 주인의 도덕이다.

 

노예는 인간을 선과 악으로 구분한다. 지금 노예의 신분인 '나'는 선한 반면 주인은 악하다. 노예는 선량함, 소박함, 배려심 민주적, 자기 성찰등 의존적인 도덕을 선하다고 생각한다. 반면 주인에게 있는 도덕을 악하다고 평가한다.

 

주인은 도덕을 선과 악으로 평가하지 않는다. 독수리가 양을 잡아먹을 때 양은 선하지도, 악하지도 않다. 그저 독수리 입장에서 배를 채울 수 있는 '좋은 것'일 뿐이다. 하지만 양은 독수리를 악하다고 생각한다. 곧 주인의 '좋음'은 강함, 화려함, 자신감, 자주적인 도덕등이 노예입장에서 사치, 건방짐, 독단적, 허세등으로 악하다고 평가받는 것이다.

 

이러한 노예의 도덕은 주인에 대한 원한으로 부터 출발한다. 고대 그리스의 노예들이 주인들에게 가진 원한이 그리스도교가 세계적인 종교로 거듭나면서 진리가 된 것이다. 사랑, 배려, 소박함, 배려심 민주적, 자기 성찰적인 도덕을 '나쁜것'에서 '선'으로 바꾸어 놓았다. 선과악을 구분하는 그리스도교의 도덕은 곧 노예의 도덕이다.

 

니체는 이러한 노예의 도덕을 허구이며 왜곡된 것으로 생각했다. 인간은 신이라는 권위를 빌려 자신의 권위를 세우려고 한다. 신을 믿는다고 하지만, 실제로는 인간이 가진 한계에 신의 권위를 덮어씌워 자신을 높이고자 하는 것이다. 이렇게 인간이 신에 의존한다면 인간은 신의 노예일 뿐이다. 니체는 주인의 도덕을 회복하여야 한다고 보았다.

 

따라서 신을 죽였다.

 

신은 죽었다. 신은 죽은 채로 있다. 그리고 우리가 그를 죽여버렸다.

살인자 중의 살인자인 우리는 어떻게 스스로를 위로할 것인가?

- 즐거운 학문

 

신의 죽음이 상징하는 것은 최고가치의 부재를 상징한다. 즉 선과 악의 구분이 사라졌고, 좋음과 나쁨만이 가치체계로 남았다는 것이다. 도덕과 가치만 죽은 것이 아니다. 니체는 서양 전통의 철학과 사상의 중심에 기독교 사상이 있었다고 생각했다. 따라서 신의 죽음은 도덕과 가치, 서양 전통 철학, 사상의 죽음을 의미한다. 소크라테스부터 헤겔까지 서양철학 전체가 죽었다고 보는 것이다.

 

니체는 자기자신을 가르켜 이렇게 말한다.

 

나는 인간이 아니다.

나는 다이너마이트다.

- 이 사람을 보라

 

신은 이제 죽었다. 니체는 최고가치의 부재가 인간에게 혼란을 줄 것이라고 생각했다. 이제 인간은 무엇을 등불로 삼아야하는가? 신이 사라진 자리에는 인간만이 남았다. 이제 인간은 더 이상 자신의 삶에서 신을 찾지 않을 정도로 위대해져야 한다. 거지는 자신이 비참하게 보이길 원한다. 그래야 동정을 더 많이 받기 때문이다. 그렇기 때문에 노예는 동정을 받으면 받을 수록 더 비참해진다. 하지만 니체는 이러한 동정을 싸구려 동정이라고 칭한다. 니체가 말하는 사랑은 그 사람을 더 나은 상태로 만드는 것이다.

 

자기자신도 이와 같다. 자기 자신을 사랑한다면 더 끊임없이 더 나은상태로 만들어야한다. 모든 역경과 고난을 이겨내고 감정에 치우지치 않아야한다. 니체는 자기자신을 사랑하는 이러한 사람을 자기자신을 극복하는 사람, '초인'으로 보았다. 인간은 모두 기존의 도덕과 가치에 얽메이지 않는 초인을 지향해야한다고 생각했다.

 

초인은 기존의 도덕과 가치에 얽메이는 않는 사람이다. 우리가 현재 보편적으로 옳다고 생각하는 예의, 복종 등의 관념이 노예의 도덕과  비슷하다고 생각한다. 부모님,친구의 권유대로 평탄한 길을 걷는것, 우리와 다른 개인을 비교하며 다르다면 싫어하는 것  등 역시 노예의 도덕이다. 니체는 이러한 도덕에서 벗어나야 초인으로 나아갈수 있다고 말했던 것이 아닐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