채권 국가, 지방 자치 단체, 은행, 회사 따위가 사업에 필요한 자금을 차입하기 위하여 발행하는 유가 증권.
간단히 말해서, 자금확보를 위해 유가증권을 시장에다 발행하는 것을 의미한다.
우리가 이해하기에 채권은 항상 고정수익Fixed income으로 알고있는데 어째서 수익률이 3%, 26%등
차이가 날 수 있는 것일까?
(1) 채권의 금리
채권을 이해하는데 금리가 가장 중요한데, 금리 3가지를 알아야한다. 기준금리, 쿠폰금리, 채권금리(수익률)
기준금리. 중앙은행에서 정해주는 금리이다. 채권금리와 예금금리는 기준금리의 추세를 따른다. 기준금리는 채권가격을 변화시키는 가장 중요한 요인이다.
쿠폰금리. 채권을 발행할때부터 채권에 적혀있는 금리이다.
만약 채권을 매수하게 된다면 달마다 쿠폰이자를 받을것이며, 이미 종이에 씌여져있는 것이기에,
바꿀 수 없는 고정수익Fixed income이다.
채권금리(수익률). 보통 채권 수익률이라하면, 채권금리를 뜻한다. 여기서의 금리는 할인율의 개념이다.
수익률은 단편적으로 다음과 같이 설명될 수 있다. 해당 차트를 A라고 치자, A를 보면 100의 채권을 구매한다고 했을때, 1년에 5%씩 이자를 받고, 만기 5년이 되면 105만큼의 원금과 이자를 받는다. 여기서, 년에 5%를 받는 것은 쿠폰이자이다. 그리고 채권금리란, A라는 차트를 얼마만큼의 할인된 가격을 주고 구매할 것인지에서, 그 할인율이 채권금리 또는 채권 수익률이 되는 것이다.
만약, 채권을 보유하고 있다가 누군가에게 매도한다면 채권수익률은 쿠폰이자율을 통한 이자수익+매매차익이 된다. 가령, A가 k라는 연이자 10%의 10년만기 채권을 90억에 구매하여 1년후 95억에 B에게 매도하였다면, A의 채권수익률은
이자수익 9억+ 매매차익 5억=14억으로 14/90억 약 15.5%가 된다.
즉 수익률이 26%씩 차이가 날 수 있는 이유는 매매차익의 변동성 때문이라고 할 수 있다.
(2) 기준금리와 채권금리
기준금리가 상승하면 채권금리는 상승한다.
안전한 은행예금보다는 금리가 높아야 채권에 투자를 하기때문에 채권금리(수익률)은 상승한다.
채권금리가 상승하면 기존 채권가격이 하락한다.
기준금리가 5%에서 10%로 올랐다고 가정해보자, 수익률 10%인 채권이 시장에 있으므로 사람들은 수익률 5% 채권을 크게 신경쓰지 않을것이다. 따라서 연 5%채권을 매도하기 위해서는 가격을 할인하여 매도 할수밖에 없다. 그렇기 때문에 채권금리의 상승은 채권 가격의 하락을 가져오는 것이다. 그 역의 관계 역시 성립한다. 더불어 그렇게 가격이 오르다보면, 수익률은 떨어진다.
(3) 장단기 금리차
장단기 금리차는 보통 10년만기 국고채와 2년,개월만기 국고채의 차를 말한다.
채권은 보통 만기가 길수록 수익률이 높아진다.
단기채권 수익률은 간단하게 기준금리라고 생각하면 되는데, 정부가 임의로 조절할 수 있다.
장기채권 수익률은 시장에 대한 기대를 나타낸다.
장기채권수익률이 상승하려면, 시장에 대한 기대가 있어야한다. 기업이 채권을 발행하여 자금을 확보하는 이유는 시장에 대한 기대 때문이다. 주식이나 자산 수익률에 대한 기대감이 있어야 채권을 통해 자금을 확보하여 주식을 구매하고, 자산을 매입하는 것인데 예상수익률이 낮다면 그 이상 채권 수익률은 높아질수없다.
기대감이 낮은 상태에서 금리인상으로 단기채권 수익률이 높아진다면 장단기 스프레드 역전현상이 나타난다.
장단기 금리차의 역전현상은 보통 불황의 징조로 생각하는 경우가 많다.
(4) 주식과 채권
주식과 채권의 상관관계의 영향을 미치는 요소는 4가지로 볼 수 있다.
(실질금리, 인플레이션, 실업률, 성장률) 이러한 상관관계는 중앙은행의 통화정책으로 부터 결정된다.
통화 안정화 시기에는 금리를 낮추고 성장률을 높이며, 실업률을 낮춘다. 이러한 시기에는 음의 상관관계를 보인다.
통화 긴축시기에는 너무 높은 인플레이션으로 인해 정책금리를 높이고, 실질이자율이 높아진다.
이러한 상황에서는 양의 상관관계를 보인다. (인플레이션 => 실질금리 => 주식 ≒ 채권)
'생각' 카테고리의 다른 글
책고르는 원칙 (0) | 2020.04.23 |
---|---|
정의란 무엇인가? 요약 (0) | 2020.04.22 |
매몰비용의 오류, 도박사의 오류 (0) | 2020.04.09 |
오히려 좋아 (0) | 2020.04.08 |
독도는 일본 땅이다. (0) | 2020.04.08 |